[스페셜1]
[스페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감정들 - <카이: 거울 호수의 전설> 이성강 감독
2016-05-17
글 : 송경원
사진 : 최성열

이성강 감독은 <마리이야기>(2001), <천년여우 여우비>(2006) 등으로 국내 창작애니메이션의 길을 닦아온 대표주자 중 한 사람이다. 그런 그가 또 한번 신작 <카이: 거울 호수의 전설>(2016, 이하 <카이>)을 들고 관객과의 만남을 기다리고 있다. 5월1일 일요일 단 한 차례 마련된 야외상영을 마친 그는 관객과 만난 즐거움에 약간의 흥분과 기대로 상기되어 있었다.

-국내 창작 극장애니메이션의 어려움은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장편 극장애니메이션이 꾸준히 만들어지는 건 대부분 창작자의 의지 덕분인 것 같다.

=사명감 같은 거창한 말로 꾸미고 싶진 않다. 즐거움이 있으니 만든다. 그거면 충분하다. <천년여우 여우비> 이후 꽤 긴 시간이 흘렀는데, 이렇게 관객을 만날 수 있어 기쁘고 벅차다. 이런 기분 때문에 영화를 계속 만들어왔다는 걸 새삼 다시 떠올렸다.

-첫 상영이자 마지막 상영을 마쳤다. 반응은 만족스럽나.

=최선을 다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조금 어둡고 어렵다는 투자•배급사의 우려도 있었는데, 이 정도는 아이들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감정선이라 생각한다. 오빠 카이는 직진하는 캐릭터다. 복합적인 갈등을 표현할 동생 샤무이와 균형을 맞추는 게 가장 어려운 작업이었는데 결과에 만족한다. 추운 날씨에도 대부분 끝까지 자리를 지켜준 관객에게 감사했다. 아이와 어른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작품이라는 자신감이 생겼다.

-좋은 의미에서 이전 작품들보다는 대중적이다.

=이전 작품들이 서정성에 힘을 기울였다면 이번엔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속도와 리듬에 집중했다. 초반에 다소 빠른 느낌이 있지만 후반의 모험을 제대로 보여주는 게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욕심을 버리고 지루하게 느껴지는 부분은 과감히 걷어냈다. 개인적으론 사건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긴장감을 잘 표현해낸 것 같다.

-국내 창작애니메이션인데 몽골 초원이 배경이다. 소재도 이국적이다.

=모티브는 안데르센의 동화 <눈의 여왕>이다. 2007년부터 기획했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몇년을 묵혀두다 연상호 감독의 스튜디오 다다쇼와 만나 다시 해보자고 의기투합했다. 이번에도 흥행이 부진하면 끝이라는 절박함이 있었기에 적은 예산임에도 대중적인 소통에 첫 번째 초점을 맞췄다. 몽골을 배경으로 한 건 2번의 몽골 여행에서 받았던 감동 때문이다. 한눈에 다 들어오지 않는 웅장한 초원, 그 탁 트인 기분을 애니메이션에 꼭 담고 싶었다. 처음 갔을 땐 겨울이었는데 온 땅이 얼어 있었다. 봄에 다시 방문해보니 삭막해 보이던 땅이 온통 야생 라벤더로 뒤덮여 있었다. 그 향기에 취해 차갑게 시작해서 따뜻하게 끝나는 영화를 만들어보자고 마음먹었다.

-작은 예산이라고 했지만 일반 관객이 볼 땐 작화의 완성도가 그렇게 차이가 나는지 구분하기 어려울 것 같다.

=아마 전문가들이 볼 때는 차이가 있을 거다. 그림자를 다 넣지 못하거나 음영을 줄여 움직임이 조금 평면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크게 거슬리는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결국 한정된 예산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만들 것인지의 문제다. 장편애니메이션 한두편에 대규모의 예산을 집중해 큰 성과를 바라는 시대는 지난 것 같다. 다양한 작품들이 많이 만들어지는 게 더 유의미하다. 수익 모델도 늘어나고 관객도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색깔을 받아들일 수 있으면 좋겠다. 저변은 그렇게 차근차근 넓어지는 것 같다.

-이번 작품의 대중적 완성도는 충분해 보인다.

=많은 사람들에게 쉽고 재미있는 애니메이션으로 다가갔으면 좋겠다. 사람들이 잊고 사는 감정, 상대와 공감하고 외로움을 나누려는 마음을 그렸다. 지금 세상에 필요한 이야기라고 믿는다. 가족과 함께 영화 속에서 그 감정들을 발견했으면 더 바랄 나위 없겠다.

이어지는 기사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