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1]
[프로젝트⑫] <안시성> 김광식 감독, "시대적인 배경이 과거일 뿐 전쟁영화를 구현한다"
2018-01-08
글 : 이화정
사진 : 오계옥

<안시성>

감독 김광식 / 출연 조인성, 남주혁, 박성웅, 배성우, 엄태구, 설현 / 제작 영화사 수작, 스튜디오앤뉴 / 공동제작 모티브랩 / 배급 NEW / 개봉 2018년

● 시놉시스_ 645년. 중국 역사상 가장 강력하다고 평가 받은 권력자 당 태종 이세민(박성웅)은 요동정벌을 눈앞에 두고 있다. 그런데 고구려의 수장 연개소문과 대적하기도 전, 대수롭지 않다고 여긴 안시성이 발목을 잡는다. 당시 연개소문(유오성)에게 반역자로 낙인찍힌 안시성 성주 양만춘(조인성)은 인품과 전투 지략을 두루 갖춘, 백성들의 영웅이다. 양만춘은 연개소문의 비밀지령을 받고 안시성에 침투한 병사 사물(남주혁)과 시시때때로 침략을 전개하는 이세민의 군대 사이에서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고군분투한다. 기마대장 파소(엄태구), 검도수장 풍(박병은), 여군 부대의 수장 백하(설현) 등의 헌신과 함께, 나라가 버린 양만춘이 나라를 구하는 88일간의 사투가 시작된다.

● 포인트 : 공성전의 모든 것_ 영화는 시작부터 연개소문과 당 태종이 벌이는 전투 장면을 보여주고, 영화의 하이라이트와 마무리도 전투 신으로 점철된다. 영화의 주인공이 안시성이자 안시성의 액션이 영화를 대표한다. 안시성 전투는 주로 성을 빼앗기 위해 사투를 벌이는 공성전. 다양한 공성전의 비주얼 구현은 <안시성>이 제안하는 새로운 볼거리다. 특히 칼이나 활에서 벗어난, 성벽보다 높은 공성탑 수십대, 투석기, 충차, 파성루 등 새로운 무기가 사용되어 다양한 볼거리를 담보한다. 전투 의상도 기존 사극과 달라진다. 말과 사람 모두 쇠갑옷을 입고, 적이 포진해 있을 때 전진부대가 나서서 부수고, 뒤의 보병을 초토화하는 전투 장면이 연출된다.

김광식 감독

<안시성>은 지금으로부터 1400여년 전, 당 태종이 이끄는 대군에 맞서 싸운 안시성 성주 양만춘(조인성)의 88일간의 치열한 전투를 그린 작품이다. 안시성 전투는 당시 6배에 달하는 당의 군대에 맞서 성의 입지를 활용한 지략과 전술로 이끈 승리로,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을 방불케 하는, 동아시아 전투사에서 기록할 만한 전투였다.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지만, 한번도 스크린에서 구현되지 않았던 새로운 규모와 비주얼의 전투인 만큼 기대도 한층 큰 작품이다. <내 깡패 같은 애인>(2010), <찌라시: 위험한 소문>(2013) 이후 사극에 첫 도전하는 김광식 감독의작품으로 순 제작비 180억원이 투입된 사극 블록버스터다. 지난해 8월 크랭크인 이후 4개월 동안 총 100회차 중 80%를 소화했다.

-영웅 양만춘이 이끈 승리의 역사를 지금 돌아보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당시 연개소문이 쿠데타로 권력을 잡을 때 이에 협조하지 않은 양만춘은 나라의 반역자로 낙인 찍혀 제거될 위기에 처해 있었다. 연개소문을 중심으로 외교와 전투가 이루어지던 때라 고구려에서 변방 장군인 양만춘의 설 자리는 없었다. 안시성 전투는 그 와중에 우리나라가 당시 최고의 위세를 떨치던 당 태종과 겨뤄 이긴 전투로, 그 승리를 이끈 건 양만춘이었다. 그 스토리가 재밌더라. 국가의 도움 없이, 지배자와 대척해 있는 상황에서 본인이 반역자가 아니라는 걸 증명해가는 이야기에서 양만춘이라는 캐릭터에 매력 을 느꼈다. 소재를 제안받은 건 <찌라시: 위험한 소문>을 촬영할 때였고, 끝나자마자 본격적으로 시나리오를 썼다.

-고구려 전투는 한국영화에서 구현된 적이 거의 없다. 자료가 많지 않은 만큼 상상의 몫은 더 커졌을 텐데.

=안시성 전투에 대한 기록이 세줄 정도밖에 없더라. ‘천하를 제패한 당 태종 이세민이 안시성에서 며칠간 싸웠는데 실패하고 돌아갔다’, 이 정도다. 그래서 영화 작업은 그 간극을 상상으로 채워나가는 일종의 복원작업이었다. 안시성 전투는 공성전이 메인이다. 그래서 고구려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전투 중 성을 지키는 전투에 치중해 자료를 조사했다. 비슷한 서양 전투도 많이 참조했다. 자료 조사 시간이 많이 필요하더라. 프리 프로덕션만 1년 정도 걸렸다.

-지난해 개봉한 <남한산성>을 비롯해 규모가 큰 액션 사극 장르가 꾸준히 만들어지고 있다. <안시성>의 새로움과 도전 지점은 무엇인가.

=내 접근 방식은 ‘사극 액션’ 영화다. 시대적인 배경이 과거일 뿐, 전쟁영화를 구현한다고 생각한다. 기존 사극 액션물이 캐릭터에 중심을 두다가 마지막에 전투를 펼치는 구조라면, <안시성>은 전쟁의 한복판에서 캐릭터를 어떻게 구현할까를 중점으로 두고 시나리오를 썼다. 전쟁과 인간이 한데 놓여 있을 때 그 안의 캐릭터를 그려보고 싶었다.

-당시 요동지역의 전략적 요충지인 안시성의 구현이 관건이었겠다. 성의 입지, 견고함에 당나라 군대가 힘을 못 쓸 정도였던 난공불락의 요새 안시성을 어떻게 구현했나.

=프리 프로덕션 때 만주에 있는 실제 안시성에 갔었다. 문헌에는 산세가 험악하고 난공불락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안시성으로 유추되는 그 자리의 성은 평지에 있는 데다 턱이 낮고, 외세가 들어오면 하루도 못 버틸 모양새더라. 영화는 안시성을 리얼하게 고증하는 데 목적을 두는 게 아니라 고구려의 정신을 보여주는 게 우선이었다. 그래서 영화의 안시성은 가장 고구려적인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모습으로 디자인했다. 고구려 유리왕 때 축조한 환도산성을 보니, 방어적인 성임에도 호전적인 느낌이 있는데 문헌에 묘사된 안시성과 유사해 보여 많이 참조했다. 외경은 스코틀랜드 절벽 같은 바위로 둘러싸여 있고, 적을 삼면으로 포위할 수 있게 삼면이 안으로 깊이 들어간 고구려 스타일의 옹성 모양으로 디자인했다.

-당시 고구려 요동성 전투 장면을 스크린에 구현하는 것이야말로 큰 도전이자 성공의 관건이다.

=영화가 전투 위주다 보니 매 전투를 다르게 구성했다. 대규모 기마 액션, 2~3차례의 공성전, 마지막 전투로 네번의 큰 전투가 있는데 컨셉이 모두 다르다. 현장에 매일 말이 30~40마리, 보조출연자들이 200여명씩 함께했다. 전투 규모가 크다 보니 몹 신이 아닐 때가 없었다. 장르로는 사극이지만, 이미지 컨셉은 현대극처럼 보여주고 싶어서 특수장비를 많이 동원했다.

-안시성 전투의 주역인 성주 양만춘이 극의 중심을 이끌어나간다. 엉뚱한 유머와 인성을 갖추어 백성에게 칭송받은 양만춘의 성격에 배우 조인성이 가진 특징이 고스란히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세민(박성웅)을 비롯해 사물(남주혁), 파소(엄태구) 등 출연배우의 연령대가 낮은 편이다.

=주로 사극의 장군은 위엄 있고 나이가 많은 편이다. 그런데 실제 기록을 보면 연개소문이 정권을 잡을 당시 나이가 38살, 이세민이 40살, 양만춘이 30대 초반이었다. 그들 모두 전투에 직접 임하는 왕성한 전성기였다. 사극의 중심이 젊은 층인 전쟁영화를 만들어보자는 생각을 했다. 양만춘은 실제 자료가 거의 없더라. 덕분에 상상을 많이 더했다. 변방의 성주라는 점, 연개소문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는 점 등을 중심으로 살을 덧붙여나갔다. 시나리오부터 캐릭터의 말투나 특징들도 조인성 배우와 맞춰서 만들어갔다.

-180억원이라는 규모만으로도 이미 도전이 될 프로젝트다.

=간신히 잊고 지냈는데, 이렇게 상기시켜주시다니. (웃음) 제작비 부담은 크지만 잊고 지내고 있다. 규모가 커졌을 뿐 막상 현장은 늘 제작비가 빠듯하지 않나. 오늘 고성 세트 끝내고 함양 내려가서 전투 신을 찍는다. 지난해 8월부터 촬영했는데, 사극은 정말 쉬운 도전이 아닌 것 같다. 전작 끝나자마자 쉴 틈 없이 쭉 <안시성> 준비에 매진해왔고 이제야 끝이 보이는 것 같다. 한국영화에서는 처음 보는 비주얼을 구현하기 위해 막판 총력전 중이다.

이어지는 기사

관련 영화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