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한때나마 칼 구스타브 융을 자신의 후계자로 생각했었다고 한다. 둘은 1906년에 서신을 교환하기 시작해 1907년에 서로 만나고 19010년에 각자의 길을 갔다고 전해진다. 그리 길지 않은 시간만 깊이 교류했을 뿐인데 그 이유는 각자의 학문적 진리가 서로 다른 데 있다는 걸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것이 대개 말해지는 프로이트와 융의 사연이다. 그런데 먼 훗날 스위스의 한 지하실에서 젊은 시절의 융이 한 여인과 주고받은 연애편지가 발견되었다. 그 상대는 융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치료법 ‘토킹 큐어’(대화치료)를 이용하여 고친 첫 번째 환자 사비나 슈필레인이었다. 그녀는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받은 억압으로 히스테리 증상을 앓고 있었는데 융의 도움으로 치료를 받고 난 뒤 그녀 역시 정신분석학자가 됐다. 하지만 융과 사비나의 연애 관계에 관해 프로이트는 의사와 환자간의 관계를 어긴 것이라며 크게 질책했다고 한다.
융과 프로이트 그리고 사비나의 삼각관계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데인저러스 메소드>가 융과 프로이트의 학문적 차이를 논할 것 같진 않다. 그보다는 20세기 초 취리히와 비엔나에서 30대의 젊은 의사 융과 그의 여인 사비나와 또 다른 남자 프로이트의 삼각관계를 크로넨버그가 다룬다는 것이 초미의 관심거리다. 그렇다면 그 역을 누가 하게 될까. 융은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에서 독일어에 능한 영국군 장교 역의 마이클 파스빈더, 그리고 문제의 여인 사비나는 키라 나이틀리가 맡았다. 그리고 당초 정해진 프로이트 역은 다름 아니라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의 미치광이 게슈타포 역의 크리스토퍼 월츠였는데, 촬영에 임박하여 그 자리에 대신 들어선 건 크로넨버그의 21세기 페르소나 비고 모르텐슨이다.
제목도 바뀌었다. 당초 제목 ‘토킹 큐어’는 극작가이자 각본가인 크리스토퍼 햄튼이 동명의 제목으로 쓴 희곡으로 이미 레이프 파인즈가 초연 무대에 올라 융을 연기한 적이 있다. 크로넨버그는 그 제목이 달갑지 않았던 모양이다. 더 어울리는 것은 원작자 존 커가 붙인 제목이라고 생각한 것 같다. 논픽션인 이 책의 제목은 <가장 위험한 방법: 융, 프로이트, 그리고 사비나 슈필레인의 이야기>다. 아직 크로넨버그는 이 영화에 관하여 긴 말을 하고 싶어 하지 않는 것 같다. 20세기 초반의 프로이트와 융과 사비나, 그들의 현장을 공개하긴 했지만 몇장의 사진을 제외한다면 내용에 관해서는 기획 초반과 비교해 더 알려진 것이 많지 않다. 다만 프로듀서 제레미 토머스(<네이키드 런치> <크래쉬>)는 지나가는 말인 것처럼 “많은 양의 맹렬한 섹스”가 등장할 것이라고 은근하게 예고했다. 자동차와도 섹스를 나누게 하는 크로넨버그인지라 그 섹스가 우리의 어떤 무의식을 건드릴지 궁금할 따름이다.
정신분석의 당사자를 초대하는 영화
데이비드 크로넨버그의 영화에 심심찮게 애용된 건 정신분석학적 용어들이었다. 그러니 크로넨버그는 마침내 정신분석으로 접근할 만한 소재를 영화로 만드는 걸 넘어서서 현대 정신분석의 당사자를 주인공으로 초대하는 데 이르렀다. 크로넨버그가 프로이트와 융과 그들의 여인에 대해서 다룬다고 할 때 그 숱한 프로이트의 평범한 전기문이 또 하나 나올 뿐이라고 예상할 사람이 과연 누가 있을까. 그보다는 프로이트와 융을 상담 의자에 앉히는 용감함을 다른 누군가가 아닌 크로넨버그가 시도하고 있을 때, 이 영화는 프로이트나 융에 대한 영화가 아니라 저 깊은 심연의 무의식이 주인공이 되는 가장 크로넨버그적인 영화가 될지도 모를 일이다. 후반작업 중이며 올해 개봉예정이다. 혹시라도 이들의 이야기가 미칠 듯 궁금한 분이라면 독일 감독 엘리자베스 마튼이 편지와 사진과 드라마를 혼합하여 만든 <내 이름은 사비나 슈필레인이었다>가 도움이 되겠다.